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간략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자 둥글이 (211.♡.228.4) 댓글 0건 조회 5,968회 작성일 08-03-26 18:12

본문

저 같은 '잔챙이'의 말빨 보다 '권위'를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권위있는 말씀을 인용해 올리는 것이 좋을 듯 하군요.
김기태 선생님께서는...[ 배고픔의 고통은 밥을 먹음으로써 가라앉고 경제적고통은 돈을 모음으로써 가라앉고 우리마음속에서 발생하는 혼란스러움의 고통은 혼란스러움에 대한 판단을 멈춤으로써 가라앉는다는 객관적사실을 성인들께서 경전으로..] 남겨두셨다고 강조하셨답니다.
저는 처음 부터 '도' '마음'의 이야기가 아닌,
'밥' '배고품'의 문제를 이야기 하자고 거듭 말씀 올렸습니다.
따라서 '도'의 문제와는 별도로 타인의 '배고픔'의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신경을 쓰는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닌가를 지적드렸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밥'의 문제를 자꾸 '진리' '판단을 멈춰라' '그 자체가 온전하다'는 식의 논의로 이끌어가려는 많은 분들의 시도가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 자체가 (저도 계속 지적했지만) 김기태 선생님이 말씀 하셨던 '경전에 정리된 객관적인 사실'의 논점에서 보더라도 잘 못아닌가요?
즉 '밥'은 밥의 문제로 남겨뒀어야 했는데, '밥'의 문제를 '판단을 멈추는(진리)'의 문제로 확대해석하지 않았냐는 겁니다.
제 말씀이 적절하지 않다면 '사리'에 맞게 이의 제기해주십시요.
* 혹시나 해서 드리는 말씀인데 이에 대해서 제말 좀 '사리에 맞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는 반발 좀 하지 마시고요. 사리에 맞지 않을 말을 저라고 하지 못해서 안하겠습니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294건 184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719 둥글이 5853 08-03-27
1718 청정 5381 08-03-27
1717 자몽 5614 08-03-27
1716 자몽 5603 08-03-27
1715 자몽 5652 08-03-27
1714 청정 4419 08-03-27
1713 모카시 5208 08-03-27
1712 둥글이 6164 08-03-27
1711 청정 4688 08-03-27
1710 청정 4970 08-03-27
1709 자몽 5344 08-03-27
1708 구름에 달 가듯 5377 08-03-27
1707 공자 5092 08-03-26
열람중 둥글이 5969 08-03-26
1705 둥글이 5956 08-03-27
1704 지나가려다가 4974 08-03-26
1703 우는 동물 9490 08-03-26
1702 김윤 6361 08-03-26
1701 우는 동물 5098 08-03-26
1700 청정 9012 08-03-26
1699 박혀이 1810 23-06-03
1698 웃는 사람 9324 08-03-26
1697 무아 4807 08-03-25
1696 자몽 16030 08-03-25
1695 둥글이 8231 08-03-25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4,763
어제
6,025
최대
18,354
전체
7,412,886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