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 이야기 중 초판 서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영훈 (211.♡.81.132) 댓글 0건 조회 6,706회 작성일 07-05-18 10:39

본문

752135804_adec046b_10851395B15D.jpg

아래글은 이현주 목사님의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라는 책의 초판 머리말입니다.

내용이 비원님이 가르치는 뜻과 같아 실어 봅니다.

역쉬 진리는 하나인가 봅니다.


선생님(장일순)과 나는 노자의 도덕경(道德經)을 읽어가며 그 ‘본문’을 주석註釋하려고 하지 않았다. 다만 그가 당신의 ‘말씀’으로 가리키는 것이 무엇인지, 그이 손가락이 가리키는 바가 무엇인지, 그걸 알아보고자 했다. 그리고 바로 그 자리, 그의 ‘말씀’이 손짓하고 있는 자리에 석가와 예수, 두 분 스승이 동석해 계심을 알게 되었다. 그분들도 같은 곳을 가리키고 있었다. 우리는 진지하고 따뜻하고 간곡한 ‘말씀’을 서로 나누었다. 그러면서 자리를 함께한 우리 모두가 ‘한 몸’ 이라는 사실에 문득 소름이 돋기도 했다. 아울러 현실의 두터운 어둠을 찢고 동터오는 새벽 빛 줄기를 얼핏 훔쳐볼 수도 있었다.

이 책에는 독자 여러분이 명심해 둘 만한 문장이라곤 단 한 구절도 없다. 읽으면서 동감되면 고개 한 번 끄덕이고, 이야기가 잘못됐다 싶으면 고개 한번 젓고, 그렇게 읽은 다음 지워버리기 바란다. 다만, 우리가 ‘말씀의 뗏목’을 타고 가서 닿으려고 한 저편 언덕을 독자들께서도 함께 바라본다면, 그래서 우리의 이야기에 동승하여 그곳을 함께 향할 수 있다면, 번거로움을 무릅쓰고 책을 내는 마당에 더 무슨 바랄 게 없다.


道冠儒履佛袈裟 도가의 관을 쓰고 유가의 신발 신고 불가의 옷 걸치니,

會成三家作一家 세 집안이 모여 한 집안을 이루도다.


가톨릭 신자이신 선생님과 개신교 신자인 나는 결과적으로 부대사傅大士의 이문장에서 ‘유儒’를 빼고 그 자리에 ‘기독基督’을 넣은 셈이 됐지만, 짠맛이야 어느 바닷물이 다르랴? 공자께서도 크게 웃으시리라.


세계는 하나다.

인간도 하나다.

그러므로 우리의 소망 또한 하나다.

1993년 3월 1일

관옥목인觀玉牧人 이 현 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292건 218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867 과메기 9140 07-05-29
866 둥글이 7433 07-05-29
865 공자 8103 07-05-29
864 없는이 11389 07-05-28
863 문지영 8703 07-05-28
862 그냥 6174 07-05-28
861 서울도우미 8302 07-05-27
860 김승민 5917 07-05-26
859 최영훈 5893 07-05-26
858 김요곤 5325 07-05-26
857 Let it be 6288 07-05-24
856 공자 8045 07-05-23
855 문지영 8243 07-05-22
854 둥글이 5620 07-05-21
853 아큐제로 6001 07-05-21
852 아리랑 6160 07-05-21
열람중 최영훈 6707 07-05-18
850 Let it be 6729 07-05-18
849 홍제기 6415 07-05-16
848 공자 8425 07-05-16
847 아리랑 7354 07-05-15
846 둥글이 6710 07-05-15
845 정리 12890 07-05-13
844 정리 7115 07-05-13
843 사랑 7266 07-05-13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3,577
어제
6,835
최대
18,354
전체
7,367,897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