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법정의 道

페이지 정보

작성자 명도abcd (1.♡.139.125) 댓글 0건 조회 10,792회 작성일 13-06-29 19:34

본문

요즘 보고 있는 거사작가 무염 정찬주의 <소설 무소유>의 한 장면이 마음에 들어 게시판에 올려봅니다.
 
스위스에서 온 철학자가 송광사 불일암에 법정스님을 찾아와 물었다.  "스님 혼자서 이런 산중에 사는 것이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법정은 미소 지었다. "나는 내가 산중에 사는 일이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나는지 생각해본 적이 없습니다."  "나는 어떤 틀에도 갇힘이 없이 그저 내 식대로 홀가분하게 살고 있을 뿐입니다. 그런데 이따금 지나가는 사람들이 내가 사는 모습을 보고 좋아하는 걸 보면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 모양이구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철학자도 미소를 지었다. 어떤 틀에도 갇힘없이 자기 식대로 산다는 것은 자유를 뜻했다. 법정은 그것을 홀가분함이라고 말했고 자유란 말은 쟁취해서 얻는다는 느낌이 들어서 가급적 쓰지 않았다. 홀가분함이란 자기를 다스려 얻는 '텅빈 충만' 같은 것이었고 맑은 고독으로 들어가게 하는 징검다리 같은 것이었다.
 
법정은 맑은 고독을 좋아했다. 맑은 고독은 누구나 지니고 있는 본래마음(본래면목) 그것의 보이지 않는 유전자 같은 것이었다. 맑은 고독으로 충만할 때만이 비로소 내면에서 물이 흐르고 꽃이 피었다.
 
법정은 맑은 고독으로 돌아가게 하는 수행이 바로 자신의 선(禪)이라고 생각했다. 법정은 더없아 맑은 고독과 하나되는 것을 자신의 깨달음이라고 보았다. '나'가 없어지고 부분이 전체가 되는 그런 <텅빈 충만>이야말로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실체라고 깨달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350건 59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열람중 명도abcd 10793 13-06-29
4899 명도abcd 7245 13-06-25
4898 둥글이 17125 13-06-18
4897 서정만1 12011 13-06-17
4896 바다海 8989 13-06-16
4895 서정만1 12257 13-06-14
4894 하우 8530 13-06-12
4893 둥글이 9834 13-06-12
4892 둥글이 21352 13-06-12
4891 서정만1 12028 13-06-11
4890 일혜 10457 13-06-09
4889 일혜 9658 13-06-01
4888 서정만1 12114 13-05-24
4887 서정만1 12121 13-05-22
4886 둥글이 17177 13-05-20
4885 서정만1 11269 13-05-16
4884 텅빈() 10430 13-05-16
4883 텅빈() 11130 13-05-14
4882 서정만1 11676 13-05-13
4881 서정만1 11790 13-05-12
4880 여름가지 10941 13-05-11
4879 둥글이 17324 13-05-10
4878 서정만1 11471 13-05-03
4877 일혜 9569 13-05-03
4876 아리랑 10760 13-04-24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