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언덕 (61.♡.68.58) 댓글 0건 조회 8,953회 작성일 13-11-06 19:03

본문

음악을 하는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면 유능한 음악가가 되기 위해서는 상대음감보다 절대음감을 가진 사람이 유리하다는 이야기를 한다. 절대음감이란 음을 듣고 그 고유의 음높이를 즉석에서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반대로 상대음감은 음을 듣고 그 음을 다른 것과 비교해서 음높이를 판단하는 능력을 말한다.

상대음감이든 절대음감이든 그 음높이를 아는 것은 마찬가지다. 그러나 절대음감의 음이 살아있는 음이라면 상대음감은 죽은 음이다. 소위 달을 봐야지 손가락은 왜 보느냐는 말처럼 절대음감은 달을 보는 것이라면 상대음감은 손가락을 보는 것과 같다. 그 차이는 크다. 같은 ‘솔’음이라도 살아있는 ‘솔’과 죽은 ‘솔’의 차이는 바다에서 헤엄치고 있는 물고기와 육지에서 냉동된 물고기와의 차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음이란 들어야 하는 것이지만, 살아있는 음은 듣는 것이 아니라 보는 것이다. 즉, 시각과 청각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불교에서는 사람에게 자비를 베풀고 괴로움에서 구원하는 보살을 관세음보살이라고 한다. 여기서 관세음이라는 말은 말 그대로 ‘볼’ 觀과 세상 사람의 ‘소리’라는 世音이 결합된 말이다. 다시 말하면 관세음보살은 음은 들어야 하는데 음을 듣는 것이 아니라 음을 보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이러한 관세음보살의 의미를 서비스와 연관해서 해석하면 음(音)을 보는(觀) 자만이 타인을 도울 수 있다는 말과 같다. 진정한 서비스는 고객의 살아있는 소리를 들을 수 있어야 하고 절대서비스감각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것이 고객의 소리를 귀로 듣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볼 수 있는 경지를 말한다. 일본의 山本哲士라는 학자는 서비스란 고객의 소리(音)를 듣는(聽) 것이 아니라 고객의 얼굴(色)을 듣는(聽) 것이라고까지 주장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350건 91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100 공자 16216 11-07-07
4099 서정만 8099 11-07-07
4098 라임 12996 11-07-07
4097 바다海 8301 11-07-07
4096 산하 7886 11-07-06
4095 서정만 10900 11-07-06
4094 지족 10443 11-07-07
4093 아무개 7712 11-07-06
4092 실개천 12059 11-07-06
4091 수수 8554 11-07-05
4090 둥글이 9041 11-07-05
4089 막걸리 7204 11-07-05
4088 서정만 9448 11-07-05
4087 지족 13485 11-07-05
4086 바다海 9191 11-07-04
4085 바다海 8026 11-07-04
4084 일혜 7370 11-07-03
4083 산하 9242 11-07-03
4082 아무개 9585 11-07-03
4081 아무개 10434 11-07-03
4080 공자 10308 11-07-02
4079 산하 7785 11-07-02
4078 언덕 8245 11-07-01
4077 산하 7899 11-06-30
4076 둥글이 8002 11-06-30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