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조삼모사(朝三暮四)

페이지 정보

작성자 명도abcd (14.♡.11.225) 댓글 0건 조회 8,019회 작성일 13-10-04 09:28

본문

매일 아침 라디오에서 듣는 <고전문화연구회> '박재희' 원장의 고전강의 내용이 요즘의 세태를 잘 풍자하고재미있어 자주 듣는 편이다.
 
오늘은 유명한 장자의 '조삼모사'를 말하였는데, 세상 인간만사는 참으로 다양하여 그 앞일을 예측 못하는데, 평소 형통하게 잘 풀린다고 하여 방심하지 말고 또 죽을 만큼 일이 안풀려 스트레스가 극에 도달하여도 언젠가는 다시 원상복귀되어 웃는 날이 또 오니 '새옹지마'와 비슷한 말이지만, 더 깊은 철학이 담겨있는 것 같다.
 
조삼모사 - 중학교 국어 책에도 한번 씩 나오지만 ' 아침에 세개 저녁에 네개' 어찌보면 단순한  우화같은 이야기지만 인생 전반의 철리를 일깨워주는 이치라고 본다.
반대로 '아침에 네개 저녁엔 세개로 먹이를 주겠다' 하니 어리석은 원숭이들이  좋아했다고 하였다.
 
그러니 인생 전반 어렵다고 절대로 불우하다고 생각하지 말고, 형통하여 인생길 탄탄대로라고 섣불리 방심하여 함부로 행동하다가 큰코 다친다~는 교훈이 짙게 깔려있다. 
 
특히 불교에 원숭이 이야기가 자주 등장하는 것도 어리석은 중생을 깨우치기 위한 방편인데, 과거 신라시대에 이차돈이 불교를 전법하다가 처형당할 때 원숭이 떼가 주위 숲에서 울었다고 전해지며 각종 불화에 원숭이 그림이 한번 씩 등장한다.
 
아무튼 조삼모사를 통하여 인생 전반과  후반의 변화를   잘 묘파한 장자는 참으로 그 시대가 낳은 철인이자 현인이라고 볼 수 있으며 비록 칠원(뽕나무 밭)에서 농사도 짓고 하급관리로 살아간 또 한가하면 중국 푸강에서 낚시대를 드리우며 대자유를 살아간 그의 모습이 떠오른다.  감사합니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350건 92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075 서정만 10514 11-06-30
4074 산하 7932 11-06-30
4073 지족 7485 11-06-30
4072 문득 10285 11-06-29
4071 산하 9564 11-06-29
4070 서정만 7917 11-06-29
4069 그냥- 10383 11-06-29
4068 아무개 7864 11-06-29
4067 둥글이 8087 11-06-28
4066 산하 10158 11-06-28
4065 우리 7197 11-06-27
4064 산하 8143 11-06-27
4063 바다海 8594 11-06-27
4062 화평 6786 11-06-26
4061 서정만 10345 11-06-26
4060 실개천 11868 11-06-25
4059 서정만 8575 11-06-25
4058 왕풀 7217 11-06-24
4057 말돌이 10069 11-06-23
4056 서정만 10931 11-06-23
4055 산하 7773 11-06-22
4054 서정만 8222 11-06-22
4053 산하 8185 11-06-21
4052 아무개 7581 11-06-21
4051 아무개 6923 11-06-21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Copyright © 2006~2018 BE1. All rights reserved.